배경 및 정세

ㆍ 1960년대 초
냉전 심화, 베트남에서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진영 대립

ㆍ 한국
경제적 어려움, 안보 불안정, 미국의 원조 필요성 증대

ㆍ 미국
동맹국들에 베트남전 참전 요구


타임라인

1964년 7월 18일
5명으로 구성된 선발대 편성

ㆍ 8월 26일
선발대 사이공 도착

ㆍ 9월 11일
제1이동외과병원 및 태권도 교관단 부산항 출발

ㆍ 9월 22일
제1이동외과병원 및 태권도 교관단 사이공 도착

19651월 8
국회, 베트남 파병동의안 가결

ㆍ 1월 27일
건설지원단(비둘기부대) 창설 (1,984명)

ㆍ  3월 16일
비둘기부대 본대 사이공 도착 후 지안으로 이동

ㆍ  7월 2일
국회, 전투부대 파병동의안 가결

ㆍ  9월 25일
주베트남한국군사령부 창설

ㆍ  10월 9일
맹호부대 선발대 출국

ㆍ  10월 20일
맹호사단 사령부 요원 94명 사이공 도착

19663월 9
청룡부대 선발대 출국

ㆍ 8월 15일
한국군 야전지휘소 냐짱에 설치

ㆍ  9월
제2해병여단(청룡부대) 파병 완료

1967년 9월
한국군 파병 규모 48,000명으로 증가

1968년
한국군 파병 최대 규모 약 50,000명 도달

1970년 2월
박정희 대통령, 주월한국군 철수 검토 지시

1971년 11월
주월한국군 감축 계획 발표

1972년 12월
제1차 주월한국군 철수 (37,438명 중 11,000명)

1973년 3월 23일
미군 전면 철수

ㆍ  3월 29일
제2차 주월한국군 철수 (26,438명 중 11,000명)

1974년 12월
제3차 주월한국군 철수 (5,000명)

1975년 3월 19일
마지막 주월한국군 철수 완료

ㆍ  4월 30일
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전쟁 종료


파병의 영향

ㆍ 경제
베트남 특수로 인한 경제 성장 가속화

ㆍ 군사
한국군 현대화 및 전투 경험 축적

ㆍ 외교
한미 동맹 강화 및 국제적 위상 제고

ㆍ 사회
참전 군인들의 PTSD 등 사회 문제 발생

ㆍ 의학
열대 질병 연구 및 국내 기생충 퇴치 사업 발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