타임라인


2021. 5. 11.
MLB로부터 연고지 이전 탐색 허가 받음

ㆍ 5. 24.
라스베이거스 현장 답사 시작

ㆍ 7. 20.
오클랜드 시의회, 하워드 터미널 프로젝트 승인 거부

ㆍ 9. 20.
라스베이거스 밸리 내 구장 후보지 10-12곳으로 압축

2023. 1. 10
트로피카나 라스베이거스 부지로 구장 위치 확정

ㆍ 4. 19.
라스베이거스 부지 49에이커 구매 계약 체결

ㆍ 5. 24.
네바다 주정부와 3억 8천만 달러 공공 지원금 합의

ㆍ 5. 26.
새 구장 개념도 공개

ㆍ 6. 15.
네바다 주지사, 공공 지원금 법안 서명

ㆍ 6. 21.
MLB에 공식 연고지 이전 신청 시작

ㆍ 8. 23.
MLB에 라스베이거스 이전 신청서 제출 완료

ㆍ 11. 16.
MLB 구단주들, 라스베이거스 이전 만장일치로 승인

2024
오클랜드 콜리세움 리스 계약 만료

2025. 4
- 라스베이거스 신축 구장 착공 예정
- 새크라멘토 서터 헬스 파크에서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 예정

2028. 1
- 라스베이거스 신축 구장 완공 예정
- 새 구장에서 정규 시즌 경기 시작 예정

연고지 이전의 영향

ㆍ 오클랜드에 미치는 영향
- 팬들의 반발과 실망
- 오클랜드 지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
- 구단 직원 및 구장 관련 종사자들의 일자리 상실

ㆍ 라스베이거스에 미치는 영향
- 신축 구장 건설로 인한 경제적 효과 (약 10억 달러 투자)
- 관광 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기대
- MLB 구단 유치로 인한 도시 이미지 제고

논란과 우려사항

ㆍ 계약 관련 문제
- 라스베이거스와의 30년 계약에 '특정 세금 부과 시 무상 철수' 조항 포함
-  이 조항으로 인해 팀의 장기 체류 보장이 불확실.

ㆍ 경제적 타당성 의문
- 라스베이거스 신축 구장의 규모가 MLB 최소 수준(33,000석)
- 작은 TV 시장과 제한된 부지로 인한 수익성 우려

ㆍ 팀 운영 관련
- 구단주 존 피셔의 저비용 정책으로 인한 팀 경쟁력 약화 우려
- 새로운 연고지에서의 팬 확보 및 팀 재건 과제

향후 전망

ㆍ 라스베이거스 신축 구장 건설 진행 상황 주목
ㆍ MLB의 연고지 이전 정책에 대한 재고 필요성 대두
ㆍ 오클랜드 지역의 프로스포츠 공백에 따른 대책 마련 필요